<p></p><br /><br />수산물 수출을 금지한 대북 제재를 우회하기 위해, 북한이 두 달 전 함경북도 원정리에 개장한 수산물 시장의 모습이, 채널A 카메라에 단독으로 포착됐습니다. <br> <br>국경을 넘어오는 중국인 관광객들을 상대로 외화벌이를 하는 겁니다. <br><br>권오혁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북한·중국·러시아 세 나라가 국경을 맞댄 중국 훈춘시의 세관 앞. <br><br>중국인 관광객들이 연이어 세관을 향해 플래시를 터뜨립니다. <br> <br>이들이 향하는 곳은 훈춘 세관 건너편 함경북도 원정리에 있는 국제수산물시장입니다. <br> <br>[세관 안내원] <br>“여권 있으면 180위안(약 3만원)이예요. 셔틀버스가 두 대 있어서 아무 때나 돌아올 수 있어요. 큰 도매시장인데 해산물이 꽤 싸요.” <br> <br>지난 7월 문을 연 이 수산물시장은 하루에 많게는 수백 명의 관광객이 방문합니다. <br> <br>[훈춘 상인] <br>“유엔 제재가 시작된 뒤 시장이 생겼어요. 중국 관광객들이 대상이죠. 해산물 먹고, 쇼핑도 하고, 춤추고 노래하는 공연도 보고 옵니다.” <br><br>지난해 8월, 안보리 제재 품목에 북한 수산물이 포함되자, 시장을 만들어 관광객 상대 외화벌이에 나선 겁니다. . <br><br>세관 앞에는 대형 냉동차도 여러 대 보입니다. <br> <br>밀수가 여전하다는 방증입니다. <br> <br>[훈춘 상인] <br>“몰래 들어오는 것들도 있어요. 세관에 신고할 때는 해산물이 없죠. 근데 갔다가 빈 차로 오긴 그러니까 조금 넣어오는거예요.” <br> <br>북·중 교역의 중심인 단둥도 북한 관광이 여전히 활발합니다. <br> <br>[권오혁 특파원] <br>“제 뒤로 보이는 다리가 중국 단둥시와 북한 신의주시를 잇는 조중우의교입니다. 하루에도 수차례 관광객을 가득채운 여행사 버스가 오가고 있습니다.” <br> <br>북한행 기차표가 불티나게 팔린다는 말도 나옵니다. <br><br>국제 사회가 대북 제재 고삐를 당기고 있는 상황에서도 북한의 교묘한 외화벌이는 계속되고 있습니다. <br><br>단둥에서 채널A 뉴스 권오혁입니다. <br> <br>hyuk@donga.com <br>영상촬영: 위보여우(VJ) <br>영상편집: 오영롱